한국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은 신앙적 의미를 강조하고 역사적 유산을 기리려는 의도로 시작되었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역사적 왜곡과 종교적 편향성을 내포하고 있어 심각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사업은 공공성과 역사적 객관성을 무시하고 특정 종교의 이익을 위해 공공 자원을 재편성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종교 간 갈등이 심화되고 사회적 분열을 초래하는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성지화 과정에서 기존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천주교적 해석으로 재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주어사와 천진암은 원래 불교 사찰로서의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천주교의 성지로 재해석되면서 불교와의 연관성이 무시되고 있다. 주어사에서 출토된 불교 유물인 해운대사의징비가 무단으로 서울의 천주교 성당으로 반출된 사례는 이러한 역사적 왜곡을 여실히 보여준다.
서소문 성지는 원래 여러 종교적 핍박의 현장이었던 역사적 처형터이다. 그러나 천주교는 이곳을 성지로 개발하면서 서소문역사공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그 목적을 위장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는 타종교와 시민단체의 반발을 초래하며, 공공성을 무시한 성지화 사업의 대표적 사례로 지적된다.
해미읍성과 홍주 읍성의 경우도 유사한 문제를 나타낸다. 해미읍성은 조선 시대의 군사 요새였으나, 천주교의 성지로 재해석되면서 다른 역사적 맥락은 간과되었다. 홍주 읍성 또한 천주교의 역사적 맥락을 강조하면서 원래의 공공적 의미가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러한 성지화 사업은 특정 종교에 대한 공공 자원과 예산의 집중을 초래하며, 그 결과 종교 간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결국, 특정 종교의 관점만을 반영한 성지화는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 성스러운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른 역사적 맥락과 종교적 다양성을 무시하는 것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성지화 사업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공공성과 역사적 객관성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